반응형
“모으는 법” 다음은 “꺼내는 법”이에요. 수령 전략만 잘 정해도 노후의 체감 안정감이 달라집니다.
1) 세 가지 축: 정액·정율·버킷
정액(정기금)은 매달 같은 금액을 받는 방식이라 지출 계획이 쉬워요. 정율은 잔고의 일정 비율을 인출하므로 시장 상황에 따라 수령액이 유연하게 변합니다. 버킷은 단기(현금/단기채)–중기(채권)–장기(주식) 3개 바구니로 나눠 심리적 안전과 수익 기회를 동시에 노립니다.
- 정액: 지출 고정비 커버에 최적. 단, 물가 상승에 취약 → 연 1회 인상률 반영 권장.
- 정율: 물가/시장 변화에 적응. 단, 하락장 수령액이 줄어 심리적 부담.
- 버킷: 2~3년치 생활비는 안전자산에, 나머진 주식·채권으로 복리 유지.
더 기초 개념은 블로그 홈의 연금·ETF 글 모음에서 이어서 확인하세요. 태그 모아보기: #ETF, #연금, #절세
2) 연령·성향별 비중 가이드(예시)
| 유형 | 국내주식지수 ETF | 해외주식지수 ETF | 채권 ETF | 현금성 |
|---|---|---|---|---|
| 성장형(20~30대) | 30% | 55% | 10% | 5% |
| 균형형(30~40대) | 25% | 45% | 25% | 5% |
| 안정형(50대+) | 15% | 35% | 45% | 5% |
연금 수령기엔 채권/현금 비중을 한 단계 높여 현금흐름의 끊김을 줄이는 게 포인트예요.
3) 리밸런싱 계산 예시
총 1억 원 포트폴리오, 목표 50:40:10(해외:국내:채권)이라고 가정해볼게요. 시장 변동 후 평가가 55:33:12가 되었다면?
- 목표 금액: 해외 5천만/국내 4천만/채권 1천만
- 현재 금액: 해외 5,500만/국내 3,300만/채권 1,200만
- 조정액: 해외 -500만, 국내 +700만, 채권 -200만 → 해외 일부 매도 → 국내 매수로 목표 복귀
분기 또는 반기에 한 번만 점검해도 충분합니다. 리밸런싱 상세 가이드는 ETF 태그 페이지에서 더 보세요.
4) 수령 전략 적용 팁
- 정액: 물가상승률만큼 연 1회 인상. 급등장일수록 인상폭을 줄여 원금 보전.
- 정율: 3~4% 룰로 시작 → 하락장엔 1년 유예(수령액 동결)로 충격 완화.
- 버킷: 2~3년 생활비=현금·단기채로 확보, 나머지로 복리 유지. 하락장에선 장기버킷 매도 금지.
5) 내부 링크로 이어보기
더 많은 연금 루틴/절세 아이디어는 yaho-simba 홈에서 ‘연금/ETF/절세’ 글 묶음으로 이어 확인하세요.
반응형
'투자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💰 배당주 전략 모듈 — 현금흐름으로 꾸준히 버는 법 (0) | 2025.11.04 |
|---|---|
| 📌 “배당주, 단타 말고 10년을 보라 — 복리로 돈이 자라는 체크리스트” (0) | 2025.10.31 |
| 📌 “해외주식,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— 미국·일본·동남아 투자 완전 정복” (0) | 2025.10.31 |
| 🎯 “대형주냐 중소형주냐… 당신의 선택이 수익률을 갈라놓는다” (0) | 2025.10.31 |
| 📆 ETF로 만드는 연금 로드맵: 절세 캘린더 (0) | 2025.10.30 |
| 💰 세액공제로 연금 불리고, ETF로 키우기 (0) | 2025.10.30 |
| ETF로 만드는 연금 로드맵, 절세 캘린더 — 12개월 체크리스트 (0) | 2025.10.30 |
| 세액공제로 연금 불리고, ETF로 키우기 — 연금저축·IRP + 저비용 ETF 실전 가이드 (0) | 2025.10.30 |